반응형 생생정보통30 유통기한 없어지고 소비기한 생기는 이유 유통기한 없어지고 소비기한 생기는 이유 2023년부터 달리지는 것 중 하나는 유통기한이 없어지고 소비기한이 생기는 것입니다. 2023년 1월 1일부터는 유통기한은 볼 수 없습니다. 1985년부터 표기됐던 터라 작은 혼란이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이 정확히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유통기한이란 음식이 만들어지고 유통될 수 있는 기한을 말합니다. 소비기한이란 해당 식품을 섭취했을 때 건강상에 이상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기한을 말합니다.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차이 유통기한은 제품의 변질과 관계없이 폐기됩니다. 예를 들면 편의점 삼각김밥 경우 유통기한이 분단위까지 표기되죠? 그 기한이 1분만 지나도 바코드 인식이 불가합니다. 유통기한은 안전성이나 건강에는 훨씬 좋지만, 사용 가능한 제품까지 .. 2022. 12. 15.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 4강 진출 국가와 대진표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 4강 진출 국가와 대진표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일정이 마무리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아쉽게도 16강전에서 탈락하였습니다. 다음 월드컵에는 더 높이 올라갈 수 있겠죠? 대한민국과 16강에서 만났던 브라질은 8강전에서 크로아티아에게 패했습니다. 브라질은 월드컵 최다우승팀으로 강력한 우승후보였습니다. 역시 축구는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것 같아요. 이번 카타르 월드컵에서 4강에 진출한 국가는 아르헨티나, 크로아티아, 프랑스, 모로코입니다. 각 국가들의 역대 전적과 대진표를 알아보겠습니다. 아르헨티나 역대 전적 8강전 네덜란드와의 경기에서 승부차기 끝에 올라온 아르헨티나는 FIFA 랭킹 3위로 항상 강력한 우승후보로 거론되는 팀입니다. 축구 강좌로 브라질, 독일, 이탈리아와.. 2022. 12. 13. 2023년부터 받게 되는 부모급여와 아동수당은 얼마? 2023년부터 받게 되는 부모 급여와 아동수당은 얼마? 2023년 출산 계획을 가지고 계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요. 새롭게 추가된 부모 급여와 함께 받을 수 있는 지원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부모 급여란 2023년부터 시행되는 부모 급여는 현재 만 0~1살 아기를 키우는 가정에 30만 원씩 지원되는 영아 수당이 대체되는 것입니다. 부모급여 얼마일까 2023년 1월 1일부터 만 0세 아동을 키우는 가정에는 월 70만 원, 만 1살 아동을 양육하는 가정에는 35만 원의 부모 급여가 지급됩니다. 현재 영아 수당은 가정에서 양육할 때만 현금으로 지급됩니다. 어린이집이나 아이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경우 보육료나 정부지원금 이용권 형태로 지원되고 있습니다. 부모 급여는 어린이집 이용 여부에 상관없이 전액 .. 2022. 12. 11. 강원도 육아기본수당 확대, 육아지원금 총 얼마일까 강원도 육아기본 수당 확대, 육아지원금 총 얼마일까 2023년부터 강원도 육아기본 수당이 확대됩니다. 기본 만 4세 미만까지 받을 수 있던 육아 기본수당이 만 8세 미만으로 바뀌었습니다. 육아 기본수당을 포함해 정부지원금까지 총 얼마를 받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육아 기본수당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해 지원하고 있는 강원도의 정책 중 하나입니다. 2019년부터 진행되고 있습니다. 육아 기본수당 대상자 출생일 기준, 부 또는 모가 강원도내 1년 이상 거주자 육아 기본수당은 얼마인가 만 1세 ~3세는 육아수당 월 50만 원을 지급받습니다. 만 4세~5세는 월 30만 원, 만 6세~7세는 월 10만 원을 지급받게 됩니다. 내년부터 부모 급여가 생김으로써 만 1세 미만은 70만 원의 부모 급여를 받으므로 월 20만 원.. 2022. 12. 9. 2023년 최저임금과 최저월급은? 2023년 최저임금과 최저월급은? 2023년 최저임금이 확정되었습니다. 사업장은 최저임금액 등을 근로자가 보이는 장소에 게시하거나 그 외 방법으로 근로자에게 알려야 합니다. 근로자에게 최저임금액 등을 알려주지 않을 시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 될 수 있습니다. 2023년 최저임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최저임금 2023년 최저임금 시간급 9620원 입니다. 2022년에 비해 5% 인상된 금액입니다. 최저임금이란 최저임금 제도는 근로자의 임금을 최저 수준으로 보장하는 것입니다. 근로자의 생활 안정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꾀함으로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 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국가가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입니다. 최저임.. 2022. 12. 9.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